여행/♡ 해외 여행

연길-대련-여순-인천

가나1 2012. 11. 28. 07:48

 

백두산 9일차 (2012,06,24)  일요일


주일예배를 드렸던 연길교회 

 

연길교회는 1911년에 창립하였으며, 2011년은 연길교회 창립100주년, 복당30주년, 선교12주년이라 합니다.



연길 역에서 13:07분 기차를 타고 대련까지 장장 19시간의 기차여행 6인실 침대칸입니다.





 

백두산 10일차 2012,06,25  


08:00 대련역에 도착..  수 많은 인파들


봉고차를 400원에 대절하여 여순감옥으로 이동


1902년 러시아가 동북 3성에 항의하는 중국인들을 제압하기 위해 건축하였으나 러일전쟁으로 일본이 뤼순을 점령하게 된 후 1907년 현재 형태의 규모로 확장되었다. 
총 면적은 약 26,000㎡로,  275개의 여러 형태 감방이 있으며 2천여 명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규모다. 형무소는 담장으로 구역이 나뉘어 있는데, 담장 안에는 수색실· 고문실· 사형집행실· 15개의 공장 등이 있고 담장 밖에는 강제노동소인 벽돌 공장과 과수원, 채마밭 등이 있었다. 건물의 외형은 큰대(大)자 형으로 방사형 구조이다. 건물은 3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 층마다 복도를 따라 감방이 나란히 나열되어 있으며 복도 중간부분에는 간수들의 감시 및 투광, 상하층의 공기소통 역할을 하는 난간이 설치되어 있다.

주로 한국인, 중국인, 러시아인 등이 많이 수감되어 있었고, 1906~1936년 사이 수감자는 연간 약 2만여 명에 달했다. 1941년 태평양전쟁 발발 이후에는 한국과 중국의 항일지사와 사상범을 닥치는 대로 체포하여 이곳에 수감하였고 온갖 고문을 가했으며 수많은 수감자들이 형무소 안에서 처형당했다. 1942년에서 1945년 8월 사이에 약 700여 명의 수감자가 이곳에서 처형당했다고 한다. 

이곳은 1909년 러시아 하얼빈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한 독립운동가 안중근이 수감되어 순국한 곳이기도 하다. 또한 역사학자이자 독립운동가인 신채호도 이곳에 수감되었다가 옥사하였다.







갖가지 고문 도구들 



























 









안중근의사께서 순국 하셨던 장소






성해광장






 


인천행 배에 승선하여








 

함께 여행 했던분들과 서로의 경험담도 나누고.....


-----  끝  ----

 

 

 

 


 

'여행 > ♡ 해외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장,옥룡설산등..  (0) 2013.04.06
쿤밍,석림,따리  (0) 2013.04.06
용정,도문(두만강)  (0) 2012.11.28
이도백하(백두산북파)  (0) 2012.11.28
송강하(백두산서파)  (0) 2012.11.28